등록일 25.03.11

· 위 사진 및 지도는 콘텐츠 참고용입니다.

  • 콘텐츠-720번 빌딩 콘텐츠
  • 위례성대로 6에서 ~ 위례성대로 38까지 빌딩 콘텐츠
  • #수익용 #사옥용 #역세권
  • 등록일 25.03.11
  • 목적 빌딩 콘텐츠
  • 지역   위례성대로 6 에서 ~ 위례성대로 38 까지
  • 알려드립니다

    빌딩전문가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콘텐츠는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받는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
    빌딩전문가는 콘텐츠 제공 플랫폼으로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을 보증하지 않으며, 그에 따른 어떠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 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문의 010-8942-9631
  • SMS 상담문의
    카카오톡 공유하기
빌딩 상세 콘텐츠

· 상세정보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문의바랍니다.


송파~!! 몽촌토성 분위기~!!


d6d91d23f4e22959b8cbf782cf6ed43f_1715222317_7778.PNG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올 들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노선이 8호선인 것으로 조사되면서 노선 인근 단지들이 주목받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매매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지하철 8호선 인근 단지다. 매매가격지수를 기준으로 수도권 역세권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단지 경계에서 역까지 직선거리가 500m 이내인,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단일역 기준으로만 놓고 보면 1호선 광명역(27.19%) 역세권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르기는 했다. 2017년 이후부터 광명역 인근에 광명역써밋플레이스, 광명역센트럴자이, 광명역파크자이, 광명역푸르지오 등 새 아파트가 대거 입주한 덕분이다.

다만 노선 범위를 넓혀봤을 때 8호선 인근 아파트값은 골고루 많이 올랐다. 8호선 역세권 아파트 집값은 지난해 말 대비 평균 14.15% 뛰었다. 8호선 지하철역 가운데 ▲몽촌토성역(21.15%) ▲송파역(16.51%) ▲가락시장역(15.68%) ▲남한산성입구역(14.71%) ▲문정역(14.32%) 순으로 아파트값 상승률이 높았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서울 동부 지역과 강남 접근성이 우수한 역세권 아파트들 위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며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한 집값 상한선이 15억원까지 완화되고 규제지역이 해제되는 등 거래 제약이 풀린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8호선 노선 중 가격이 가장 많이 뛴 몽촌토성역 인근에는 6864가구 규모 신천동 ‘잠실파크리오’가 유일하다. 올 하반기 부동산 반등장에서 시세가 크게 회복한 단지다. 그동안 잠실 대장주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에 밀려 잠실권에서도 ‘변방’ 취급을 받았지만 최근 V자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이다. 잠실파크리오는 잠실 생활권이면서도 행정구역상 신천동에 포함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돼 있었고 덕분에 잠실 생활권에서 ‘갭투자의 성지’로 통했다.

인근에는 미성아파트(잠실르엘)와 진주아파트(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재건축 중이다.

8호선 몽촌토성역뿐 아니라 동에 따라서는 2호선 잠실나루역이 더 가까운 더블 역세권이며 단지에서 길 하나만 건너면 올림픽공원이 위치해 있어 주거 환경도 쾌적하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잠실파크리오 전용 84㎡는 지난 10월 14일 21억5000만원(1층)에 실거래됐다. 선호도가 높지 않은 1층 아파트인데도 21억원 넘는 가격에 계약서를 썼다. 앞서 지난 9월에는 같은 동 전용 84㎡가 22억3000만원(5층)에 사고팔렸다. 올 초 1월 같은 면적 아파트가 16억5000만원(30층)에도 거래됐던 점을 감안하면 올 들어 시세가 6억원 가까이 회복했고 기존 고점 가격인 25억원(2021년 9월·24층)에도 바짝 다가선 모습이다. 올 들어 잠실파크리오에서는 전용 84㎡ 아파트만 110가구가 사고팔렸을 정도로 수요가 꾸준하다.

8호선 송파역 인근 대단지는 ‘헬리오시티’가 대표적이다. 옛 가락시영을 재건축해 2018년 12월 준공한 단지로 총 9510가구의 미니 신도시급 단지다. 큰 규모만큼이나 게스트하우스와 수영장, 사우나, 스튜디오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갖춰 수요자 선호도가 높다.

헬리오시티 전용 84㎡는 지난 10월 7일 20억9500만원(26층)에 매매 계약서를 썼다. 23억원대에도 팔리던 2021년 시세를 회복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올 초 15억원대에도 거래가 이뤄졌던 점을 감안하면 시세가 30% 이상 훌쩍 뛰었다.

다만 헬리오시티는 큰 규모만큼이나 평형별, 동별, 층별 격차가 상당하다. 전용 39㎡의 경우 지난 10월 초 9억3000만원(3층)에 실거래됐는데 올 초 1월 시세와 비슷한 수준이고 직전 거래 가격(11억5000만원·9월)보다는 2억원 이상 빠진 금액이다.

8호선과 3호선 더블 역세권인 가락시장역 인근 대표 주자는 ‘올림픽훼밀리타운’이다. 잠실동 아시아선수촌(1356가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5540가구)과 함께 ‘올림픽 3대장’으로 통하는 이 단지는 지상 최고 15층, 56개동, 4494가구 규모로 1988년 준공됐다. 최근 재건축을 위한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해 재건축이 확정된, ‘핫’한 단지다.

과거 올림픽훼밀리는 단지 남쪽 문정2동이 오랫동안 낙후돼 있었던 탓에 덩달아 ‘조금 외진 곳’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최근 개발 호재가 잇달아 몰리면서 분위기가 바뀌는 양상이다. 우선 주거 환경에서 감점 요인이었던 가락시장의 현대화 작업이 마무리됐고 단지 남측에는 문정법조단지가 들어섰다. 탄천 건너 수서 역세권 개발 사업 수혜도 예상된다.

남한산성역은 아파트 매매 가격이 많이 뛴 8호선 역세권 가운데 유일하게 성남시에 있다. 2012년 입주한 ‘성남단대푸르지오(1015가구)’와 1995년 입주한 ‘은행동현대아파트(1258가구)’가 일대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단지다.

다만 단대동 ‘성남단대푸르지오’는 롤러코스터 같은 집값 하락을 겪었던 곳이라 아직 고점보다는 30% 정도 시세가 낮다. 지난 10월 전용 84㎡가 8억4500만원(1층), 9월 8억8000만원(8층)에 각각 실거래됐는데 직전 고점은 2021년 9월 계약서를 쓴 11억9500만원이었다. 

콘텐츠 지역
  • 은행
  • 마트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

회사명 : (주)알엑스케이 / 대표 : 김원재 / 사업자 등록번호 : 559-86-02479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120길7, 5층 502호   문의 : 02-6272-2456

 

빌딩매매.net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콘텐츠는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받는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
빌딩매매.net은 콘텐츠 제공 플랫폼으로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을 보증하지 않으며, 그에 따른 어떠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 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