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텐츠-1938번 빌딩 컨텐츠
빌딩 확인일 25.09.04
마장로288에서 ~ 천호대로288까지 빌딩 콘텐츠
서울 성동구 마장동
#수익용 #역세권 #재테크용
요약: 마장역–답십리역 사이 상권 & 투자 포인트
1) 상권 성격 한 줄 정리
-
주거밀집+생활형 상권 중심에, 자동차 부품·중고가전·도소매/창고형 수요가 섞인 혼합형 로컬 상권.
-
광역핵(왕십리·청계천·동대문)과의 보완 관계로 저·중층 근린상가의 임차수요가 꾸준함.
2) 수요·유동
-
배후주거 밀도 높고, 통근/통학 유동과 생활편의 업종 체류 수요가 주력.
-
답십리역: 역세권 출퇴근 유동+시장·학원·생활형 업종 → 소비 체류형 강점.
-
마장역: 공장·도소매·물류 관련 B2B 수요와 근린생활형 소비가 공존.
3) 업종 구조 & 임대 포인트
-
생활형(카페·음식·병원·학원·편의) + 목업종(자동차·설비·부품·창고형) 혼재.
-
1층은 식음료/편의/미용/의료 선호, 상·저층은 사무·학원·창고겸용 수요 유입.
-
코너·횡단보도 앞·출구접근성 구획은 공실 리스크 낮고 회전율 높음.
4) 임대료·공실 경향(정성)
-
대로변·역출구 2~3분 내 1층 프라임 구획은 견조, 이면 2선·3선은 업종 맞춤·임대인 인테리어 지원 여부에 따라 공실 변동성 큼.
-
주차·집배송 동선이 좋은 건물은 B2B·하이브리드(쇼룸+창고) 수요로 방어력 ↑.
5) 개발·환경 변화 요인
-
노후 저층 스트립형 상가 리모델링 수요 지속.
-
도로 정비·보행환경 개선 구역은 1층 집객력 개선 → 임대료 갭 축소 가능.
-
인근 왕십리·청계 일대 상권 파급이 주말·저녁 매출에 기여(목·금·토 강세).
6) 리스크 체크
-
이면부 주차 취약/적재공간 미흡 시 B2B·배달형 업종 유치 한계.
-
노후 건물의 설비·구조안전·층고/승강기/배관 이슈는 임대 단가 제약.
-
업종 편중(동종 과밀) 구간은 가격경쟁 심화 → 임대료 디스카운트 압력.
7) 마이크로 입지 나누기
-
답십리역 인접(출구 1~3분): 생활형·집객형 우세, 1층 숍라인 경쟁력 최고.
-
마장역 인접: B2B·쇼룸·창고겸용 강점, 승강기·적재 동선·접도폭이 가치 좌우.
-
역 사이 이면 주거블록: 안정적 생활형 수요 vs. 가시성·집객 한계 → 임대료/매입가 균형 중요.
8) 투자 전략(실행 체크리스트)
-
1층 가시성/동선: 코너, 횡단보도 동선, 정류장/출구 노출, 유효전면(간판+쇼윈도 폭) 확인.
-
혼합 수요 대응 설계: 1층 집객형, 상·저층 사무/학원/창고겸용 분할 가능한 코어·층고·하중 체크.
-
주차/하역 여건: 도로폭, 진출입, 램프 폭, 적재 공간 유무 → B2B 임차 안정성 결정.
-
설비 스펙: 전력용량, 급배수, 엘리베이터(화물겸), 층고 3.6m± 이상이면 업종 호환성↑.
-
리모델링 여지: 파사드·화장실·엘베 교체로 임대료 10~20% 개선 여지 검토(공사비 회수 기간 산정).
-
임차 포트폴리오: 생활형+B2B 혼합 구성으로 경기·계절 편차 분산.
-
임대 조건 설계: 초기 임대인 인테리어 지원(Works-out) vs 보증금·렌트 수준 수지 시뮬레이션.
-
규제·용도 확인: 근린생활/교육연구/창고겸용 가능 범위, 방재·소방, 소음·악취 민원 리스크 점검.
9) 매입 타깃별 가이드
-
현금흐름형(중수익 안정): 답십리역 1~2선 1층 소형 코너/연환승 동선 접점. 공실 짧고 회전 빠름.
-
밸류애드형: 마장역 인근 노후 저층 → 파사드·동선·승강기·전력 증설 리모델링 후 쇼룸+창고 하이브리드 유치.
-
개발 옵션형: 대지형상 양호·접도 2면 이상·인접 노후도 높을 때 중층 리플레이스 장기 검토.
10) 결론
-
이 구간은 생활형 소비 + B2B 실수요가 동시에 버티고 있어 경기 민감도 중간, 리모델링·MD 재편으로 현금흐름 개선 여지가 있는 지역입니다.
-
역세권 1층 프라임은 수익률 낮아도 방어력, 이면·노후 건물은 개선 여지에 따라 수익률 상향 여지가 큽니다.
-
핵심은 동선·설비·주차—이 세 가지가 맞으면 공실 리스크를 크게 줄이고 임대단가를 방어/상향하기 쉽습니다.
- 은행
- 마트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