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텐츠-1925번 빌딩 컨텐츠
빌딩 확인일 25.09.03
천호대로1128-1에서 ~ 양재대로1303까지 빌딩 콘텐츠
서울 강동구 둔촌동
#수익용 #역세권 #재테크용
둔촌동역(강동구 성내·둔촌동 일대) 상권 분석과 부동산 투자 포인트를 실무 관점에서 정리한 요약입니다. 빠르게 투자판단·현장 체크 리스트로 쓰실 수 있게 핵심만 뽑았습니다.
1) 한눈에 정리 — 상권 성격
-
주거 중심의 역세권형 상권: 둔촌동역 주변은 저층주거지·전통시장·근린생활시설이 혼재된 주거형 상권으로, 대로변(양재대로)과 이면의 먹자골목·전통시장이 공존합니다. 유동인구는 대형 상업지구보다는 배후 세대(주거 수요)에 의존하는 구조입니다.
-
교통 포인트: 지하철 5호선(둔촌동역)과 인근의 9호선(둔촌오륜 등)·버스 노선으로 접근성이 좋아 통근·통학 배후수요가 뚜렷합니다.(역 주변 편의시설·학교·병원 밀집)
2) 최근 변화(호재) — 상권을 바꿀 요소
-
지구단위계획 재정비(고밀 개발 유도): 최근 둔촌동역 일대 지구단위계획을 손질해 역세권 중심기능 강화·고밀복합개발 유도 방안이 발표되었습니다. 대로변 상업·업무·의료시설 유입을 권장하여 장기적 상권 업그레이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
대규모 단지 입주·정비사업: 올림픽공원 인근 대규모 신축·단지(입주)와 소규모 정비사업(가로주택 정비 등)의 가속으로 배후 세대수·소비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배후세대 증가가 상가 수요를 늘릴 가능성이 큽니다.
3) 수요 특성(누가 소비하나)
-
주 이용층: 가족·중장년층(50·60대 포함) — 일상형 소비(식음료·의료·미용·학원 등) 비중이 큽니다. 의료(내과·치과·한의원 등) 수요가 높은 편이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
출퇴근·학원·지역 병원 이용 고객 — 평일 낮·저녁대가 핵심 시간대이고 주말은 대형 쇼핑권보다는 동네 소비가 중심입니다.
4) 핵심 리스크
-
상권 확장 한계 & 업태 포화: 기존 저층·전통시장 중심이라 대규모 신규 상가 입지 확보가 어렵고, 특정 업종(음식점·카페)은 공급과잉 우려가 있습니다.
-
개발·인허가 일정 불확실성: 지구단위계획·정비사업은 장기 프로젝트(계획→인허가→착공→입주)라 타이밍 리스크 존재.
-
주차·도로 제약: 대로변·이면도로 구조상 주차 확보·동선이 투자성과에 큰 영향을 줍니다.
5) 투자 포인트 — 무엇을 사야 하고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
생활밀착형(안정형) 상가 우선
-
편의점·약국·소형마트·세탁·미용·어린이·학원·의료(내과·치과·한의원) 등 일상 소비 기반 업종이 안정적 수익을 냄. 배후세대 증가를 감안할 때 장기 수요가 견조함.
-
-
대로변 코너·동선 좋은 점포 우선 매입
-
유동 동선이 많은 대로변 근처 혹은 횡단보도/버스정류장 인근 점포의 공실·임대 회전이 상대적으로 빠름.
-
-
권리·임차인 구조를 통한 가치제고(가치확장 전략)
-
기존 임차인이 안정적이라면 ‘안정형 수익’으로 보유. 공실이거나 저수익 임차인 존재 시 리모델링·업종교체(권리정리)로 수익성 개선 가능.
-
-
소규모 정비사업 / 재건축·재개발 가시권 물건 주목
-
가로주택 정비·소규모 재개발 후보지 근접 물건은 향후 지구단위계획 변화에 따른 시세상승 가능성 존재. 다만 사업성(조합·법적 이슈) 철저 검토 필요.
-
-
메디컬·에듀(학원) 임대 매칭 전략
-
배후 연령대 특성상 의료·교육 업종 수요가 안정적. 건물 내시설(층고·전기·환기 등)을 개선해 의료 입점이 가능하면 임대료 프리미엄 기대.
-
6) 현장 체크리스트(매물별 필수 확인 항목)
-
지구단위계획·용도지역·용적률·층수 제한(강동구청 도시계획과 도면 확인).
-
해당 건물의 주차대수·전기용량·환기구조·승강기 유무(의료·음식점 입점시 필수).
-
배후세대수(반경 300~500m), 최근 신규 대단지 입주 일정·완료 여부.
-
실거래가·임대 시세(인근 상가 비교), 권리관계(근저당·임대차보증금·계약기간).
-
상권 내 업종별 공실률·주중·주말 유동 패턴(현장 카운트 권장).
-
정비사업·재개발 예정지·도로구조 변경(예정 공사로 인한 접근성 변화) 확인.
- 은행
- 마트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