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일 25.02.26

· 위 사진 및 지도는 콘텐츠 참고용입니다.

  • 콘텐츠-231번 빌딩 콘텐츠
  • 디지털로 306에서 ~ 초원로12길 28까지 빌딩 콘텐츠
  • #수익용 #역세권 #개발호재
  • 등록일 25.02.26
  • 목적 빌딩 콘텐츠
  • 지역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 306 에서 ~ 초원로12길 28 까지
  • 알려드립니다

    빌딩전문가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콘텐츠는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받는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
    빌딩전문가는 콘텐츠 제공 플랫폼으로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을 보증하지 않으며, 그에 따른 어떠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 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문의 010-7574-0011
  • SMS 상담문의
    카카오톡 공유하기
빌딩 상세 콘텐츠

· 상세정보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문의바랍니다.


구로구 대로변 지하철 초역세권 투자 가치 좋은 부지를 추천드립니다.

서울특별시 구로구 금천구에 조성된 국가산업단지로, 정식 명칭은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이다. 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옛날에는 구로공단으로 불리던 지역이다. 현재는 G밸리 혹은 구디, 가디로 불린다.
1~3단지로 나누어져있으며 1단지는 구로디지털단지, 2~3단지는 가산디지털단지다. 2단지는 패션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3단지는 IT 및 지식서비스산업기반의 회사들이 많다.

서울 인천 일대에 조성된 한국수출산업국가산업단지 중 한 곳으로, 원래 논밭이 있던 곳에 1964년부터 조성되었다.[2] 과거 '구로공단'으로 불리던 시절엔 주로 의류공장 등 중소 제조업 공장들이 많았던 곳이었는데,[3] 입주 기업들 중 싸니전기(현 써니전자) 같은 재일동포계 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존속 당시엔 동대문 평화시장 피복공장처럼 '일하는 사람들'의 눈물과 한이 서린 곳이기도 했다.[4] 이 곳에서 여공들은 일명 '공순이'라고 괄시받으며 장시간, 저임금 노동을 강요당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1980년대에는 노동운동의 메카로 이름나기도 했다. 1985년 구로동맹파업이 그 대표적인 사례였다. 그래서 난쏘공이나 원미동 사람들, 구로아리랑같이 당대를 다룬 문학 작품이나 영화 등에서도 구로공단의 열악한 노동 환경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곤 한다. 간혹 이 때의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 중에서 해당 예술 작품 속 적나라한 묘사에 대해서 불쾌감을 가지는 경우도 있기도 하지만 엄연히 실제로 존재했던 일이며, 대한민국의 사회학이나 현대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사건들이다.
그러다 21세기 들어 옛날에 있던 공장들은 대부분 지방이나 개발도상국 등지로 이전하고, 지금은 수많은 지식산업센터가 지어지면서 벤처기업, 디지털 관련 IT기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타트업들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 참고로 이 공단은 옆동네 광명시 철산동, 하안동의 시가지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철산동, 하안동의 아파트 단지들 근원 자체가 구로공단을 배후로 삼는 베드타운이고, 서울특별시청에서 미혼 여성용 임대아파트로 지었던 보람채아파트가 하안동에 생긴 것도 이 영향이다.

이 곳에 관심있는 고객분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콘텐츠 지역
  • 은행
  • 마트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

회사명 : (주)알엑스케이 / 대표 : 김원재 / 사업자 등록번호 : 559-86-02479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120길7, 5층 502호   문의 : 02-6272-2456

 

빌딩매매.net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콘텐츠는 각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받는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
빌딩매매.net은 콘텐츠 제공 플랫폼으로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을 보증하지 않으며, 그에 따른 어떠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 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